본문 바로가기
report

2021 재배학원론 과제물 레포트 - 토양반응과 작물생육과의 관계를 조사ㆍ설명하시오. (토양 pH와 작물양분, 토양반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by 0** 2021. 10. 11.
반응형

재배학원론 <과제물> 레포트

토양반응과 작물생육과의 관계를 조사설명하시오. (토양 pH와 작물양분, 토양반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목 차

 

1. 토양반응

1) 토양반응의 정의

2) 토양반응의 표시법

3) 토양반응과 작물생육

 

2. 산성토양과 작물과의 관계

1) 산성 토양이란

2) 토양 산성화의 원인

3) 토양 산성의 종류

4) 산성 토양과 작물 생육의 관계

5) 산성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6) 산성 토양의 개량과 재배 대책

 

3. 알칼리토양과 작물과의 관계

1) 알칼리성 토양이란

2) 알카리성 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4. 토양pH와 작물양분, 토양반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본 문

 

2. 산성토양과 작물과의 관계

 

1) 산성 토양이란

토양이 산성을 나타내는 것은 근본적으로 수소이온농도가 높아지는 것이며, 상태적으로 알카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류의 분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토양이 산성이 되면 토양구조와 아울러 물 및 공기의 수급과 토양생물의 생활환경, 각종 양분의 유효성, 질산화작용, 유해하게 작용하는 Al 이온이 나타난다.

 

 

2) 토양 산성화의 원인

산성 비료의 연용: 황산암모니아, 과인산석회, 염화칼륨, 황산칼륨, 녹비, 분뇨 등

산성 물질의 유입 : 화학공장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등

빗물에 의한 염기 용탈

무기산의 해리에 의한 수소 이온의 방출

유기물 분해시 유기산이 해리되어 수소 이온 방출

식물 뿌리에서 양분 흡수를 위해 수소 이온 방출

토양 중의 탄산, 유기산의 증가

 

3) 토양 산성의 종류

- 활산성: 토양 용액에 들어 가는 수소 이온(H+)에 의한 것

- 잠산성(또는 치환산성): 교질물에 흡착된 H+Al 이온에 의하여 나타나는 산성

 

4) 산성 토양과 작물 생육의 관계

수소 이온이 과다하면 작물 뿌리에 해를 준다.

토양이 산성이 되면 알루미늄 이온과 망간 이온이 용출되어 해를 준다.

, 칼슘, 마그네슘, 몰리브덴, 붕소 등 필수원소가 결핍된다.

산성 토양에서는 석회가 부족하고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되어 토양의 입단형성이 저하된다.

토양 산성이 강해지면 질소고정균, 근류균 등의 활동이 약화된다.

 

5) 산성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가장 약한 것: 부추, 양파, 시금치, 알팔파, 샐러리, 사탕무, 자운영, , 팥 등

약한 것: 완두, 보리, 클로버, 양배추, 근대, 가지, , 겨자, 고추, 상추 등

약간 강한 것: 유채, , 무 등

강한 것: 메밀, 당근, 옥수수, 목화, 오이, 포도, 완두, 호박, 딸기, 토마토, , , 고구마, 담배 등

극히 강한 것: , 밭벼, 귀리, 기장, 호밀, 토란, 아마, 땅콩, 감자, 수박, 블루베리 등

 

6) 산성 토양의 개량과 재배 대책

석회질 비료 사용

유기물 시용: 부식의 증대, 완충능의 증대와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미생물의 성질개선 효과

근류균 첨가: 근류균을 순수 배양하여 종자와 섞거나 배양균을 종자에 침지하거나 모래나 부식토와 섞어 토양에 뿌린다.

산성토양에는 내산성작물을 심고, 산성비료의 시용을 피한다.

용성인비은 산성토양에서 가용성 인산을 함유하고, 마그네슘 함량이 많아 효과가 크다.

 

 

3. 알칼리토양과 작물과의 관계

 

1) 알칼리성 토양이란

해안지대의 신간척지나 바닷물 침입지대는 알칼리 토양이 된다.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은 토양 용액의 OH 이온농도를 높여 알카리성을 나타낸다.

강우량이 적은 건조지대에서는 규산염 광물의 가수분해에 의해서 방출되는 강염기에 의해서 토양이 알카리성이 된다.

 

2) 알카리성 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약한 것: 사과, 셀러리, 레몬, , 감자, 레드클로버 등

중간 정도: 당근, 무화과, 포도, 상추, 귀리, 올리브, 양파, 호밀 등

강한 것: 사탕무, 수수, 유채, 보리 등

 

 

4. 토양pH와 작물양분, 토양반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염기의 용탈이 많아 토양은 산성이 되기 쉽고, 건조지대의 토양은 염류의 집적에 의하여 염기성토양이 되기 쉽다.

염기가 용탈된 토양은 일반적으로 산성을 띤다.

토양이 산성이 되면 염기의 함량이 낮고 양분의 유효도가 떨러지는 반면 알루미늄의 농도 증가로 독성이 나타나며, 필수 미량원소의 농도도 높아져 독성이 문제되기도 한다.

산성토양에는 석회와 유기물을 넉넉히 주어서 토양반응과 토양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개량의 근본대책이다.

산성토양 개량에 필요한 석회의 양은 토양의 pH와 토양의 종류, 즉 토성에 따라 다르다.

pH가 동일해도 점토나 부식함량이 많은 토양은 석회의 시용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토양의 작물양분의 유효도는 pH에 따라서 크게 다르며 중성 내지 약한 산성에서 가장 높다.

강산성이 되면 인 칼슘 마그네슘 붕소 몰리브덴 등의 가급도가 감소되어 작물생육에 불리하며,

암모니아는 식물체내에 축적되고 동화되지 못하여 해롭다. 또한 알루미늄 구리 아연 망간등의 용해도가 증가하고 그 독성 때문에 작물생육이 저해된다.

강알칼리성이 되면 붕소 철 망간 등의 용해도가 감소해서 작물생육에 불리하며, 또한 Na2CO3와 같은 강염기가 증가하여 작물생육을 저해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