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2021 잡초방제학 과제물 1. 잡초를 생활형에 따라,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를 설명. 2.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잡초방제법의 종류와 각각 실천방안 제시.

by 0** 2021. 10. 11.
반응형

잡초방제학 <과제물>

1. 잡초를 생활형에 따라,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를 설명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잡초를 2개이상 제시하시오.

2.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잡초방제법의 종류와 각각 실천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목 차

 

과제1. 잡초를 생활형에 따라,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를 설명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잡초를 2개이상 제시하시오.

 

1. 잡초의 분류 개요

1) 식물분류법에 따른 분류

2) 생활사에 따른 분류

3) 형태학적 분류

4) 기타 분류

 

2. 생활사에 따른 분류설명과 구체적 예시

1) 1년생 잡초

2) 2년생(월년생) 잡초

3) 다년생 잡초

 

3.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와 예시

1) 광엽잡초

2) 화본과 잡초

3) 방동사니과 잡초

 

과제2.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잡초방제법의 종류와 각각 실천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1) 예방적 방제법

2) 기계적 방제법

3) 경종적 방제법

4) 생물적 방제법

5) 화학적 방제법

6) 종합적 방제법

 

 

본 문 

 

과제1. 잡초를 생활형에 따라,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를 설명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잡초를 2개이상 제시하시오.

 

1. 잡초의 분류 개요

 

잡초의 분류방법으로는 식물분류법에 따른 분류, 생활사에 따른 분류, 형태학적 분류로 주로 구분하며 그 외에 잡초의 발생지, 발생시기, 생장형, 번식법, 수분적응성 등으로도 분류해 볼 수 있다.

 

1) 식물분류법에 따른 분류

, , 종명 등을 사용하여 분류하는 방법으로 화본과, 국화과, 방동사니과, 마디풀과에 43%의 종이 속하고, 비름과, 십자화과, 콩과, 메밀과, 대극과, 명아주과, 아욱과, 가짓과가 다음으로 많으며, 이들 12개과가 전체 종의 68%가 속한다.

 

2) 생활사에 따른 분류

봄에 발아하여 가을에 결실후 고사하는 1년생잡초, 1년이상 2년이내까지만 생장하는 2년생(원년생)잡초,

생활환이 2년이상 생존하는 다년생잡초로 분류한다.

 

3) 형태학적 분류

줄기, 뿌리, ,, 종자 등 식물의 외형적인 형질이나 생리학적, 유전적 형질 등에 의한 분류로 화본과 잡초, 사초과 잡초, 광엽잡초 등으로 구분한다.

 

4) 기타 분류

발생시기 : 춘계 하계 잡초, 추계 동계 잡초

발생지 : , , 과원, 잔디밭 잡초

생장형 : 직립, 포복, 총생, 분지, 로제트, 만경형 잡초

번식법 : 포자, 종자, 영양번식 잡초

수분적응성 : 수생, 습생, 건생 잡초 등

 

 

2. 생활사에 따른 분류설명과 구체적 예시

 

1) 1년생 잡초

1년 이내에 한 세대의 생활사를 완전히 마치는 식물로, 대부분의 잡초가 여기에 속한다.

하계 1년생 잡초

주로 봄과 여름에 발생하여 여름과 가을까지 결실, 고사한다.

예시 : 논피 돌피, 바랭이, 강아지풀, 알방동사니, 방동사니, 쇠비름, 명아주 등

동계 1년생(월년생) 잡초

주로 가을과 초겨울에 발생하여 월동한 수 봄, 초여름에 결실 후 말라 죽는다.

예시 : 둑새풀, 냉이, 망초, 별꽃, 벼룩나물, 갈퀴덩굴 등

 

2) 2년생(월년생) 잡초

1년이상 생장하나 2년이상은 생장하지 못하는 잡초로, 가을에 발아하여 이듬해 봄에 생장하고 여름에 결실후 고사한다.

예시 : 냉이, 망초류, 달맞이꽃, 선개불알풀, 둑새풀, 엉겅퀴, 나도냉이, 갯질경이 등

 

3) 다년생 잡초

2년이상 생존하는 생활환을 갖고 있는 식물로 종자번식도 가능하나 뿌리부, 절편, 구근, 과경, 포복근, 포복경, 근경 등 영양기관에 의하여 번식하는 경우도 많아 방제가 어렵다.

예시 : 수영, 민들레, 질경이, 산달래, 야생마늘, 나도방동사니, 올방개, 매자기, 쇠뜨기. 클로버, 제비꽃, , 메꽃, 겨풀, 미나리, 올챙이고랭이, 메꽃 등

 

3.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와 예시

 

1) 광엽잡초

잎이 둥글고 크며, 잎맥은 그물처럼 얽혀 있는 망상맥 형태의 잡초

예시 : 명아주, 질경이, 가래, 물달개비, 밭뚝외풀, 쇠비름 등

 

2) 화본과 잡초

잎의 길이가 폭에 비해 길며, 잎맥은 평행맥, 잎은 잎집과 잎몸으로 나누어져 있고, 줄기는 마디가 뚜럿한 원통형으로 마디 사이가 비어 있는 특징의 벼과 잡초. 가장 많은 잡초가 여기에 속한다.

예시 : , 바랭이, 둑새풀, 나도겨풀, 강아지풀 등

 

3) 방동사니과 잡초

화본과 잡초와 형태는 유사하나 줄기가 삼각형이고 윤택이 있으며 속이 차있는 식물, 잎이 좁고 소수(작은 이삭)에는 작은 꽃이 달리며, 물속이나 습지에서 잘 자라는 잡초류

예시 ; 너도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향부자, 매자기, 파대가리, 바람하늘지기 등

 

 

과제2.  자료 더보기 > > > 잡초방제법 종류와 실천방안  

 

출처: https://dondevoy.tistory.com/entry/잡초방제학-과제물-농경지-잡초방제법-종류와-실천방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