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잡초방제학 <과제물> 2. 농경지 발생 잡초방제법의 종류와 각각 실천방안.

by 0** 2021. 10. 11.
반응형

잡초방제학 <과제물>

2.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잡초방제법의 종류와 각각 실천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1) 예방적 방제법 2) 기계적 방제법 3) 경종적 방제법 4) 생물적 방제법 5) 화학적 방제법 6) 종합적 방제법

 

 

목 차

 

과제2.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잡초방제법의 종류와 각각 실천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1) 예방적 방제법

2) 기계적 방제법

3) 경종적 방제법

4) 생물적 방제법

5) 화학적 방제법

6) 종합적 방제법

 

 

본 문

 

잡초의 방제법은 예방적 방제, 기계적(물리적) 방제, 경종적(재배적) 방제, 생물적 방제, 화학적 방제, 종합적 방제의 6가지 방제법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방제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해본다.

 

1) 예방적 방제법

미리 잡초의 발생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잡초위생과 법적방제의 2가지가 있다.

잡초위생

새로운 종자 및 영양체를 생산할 수 없도록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잡초의 발생을 막는 방법으로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는 재배관리의 합리화, 작물종자의 정선, 농기계 및 기구의 청결, 가축포장 주변관리, 상토소독, 비산형종자의 관리, 완숙퇴비의 사용 등이 있다.

법적방제

검역을 통하여 외래식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래종의 잡초로는 돼지풀, 개망초, 부레옥잠, 어저귀, 도꼬마리, 미국가막사리, 메귀리 등 다양한 초종이 유입되어 있다.

 

2) 기계적 방제법

인력, 축력, 기계 등의 힘을 빌어 생육,휴면중인 잡초의 종자 및 영양번식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잡초를 억제,사멸시키는 방법으로 물리적 방제라고도 한다.

가장 정확하게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이나 시간과 노력의 부담이 크며, 제초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는 손제초, 경운, 중경제초, 예취, 토양피복, 흑색비닐멀칭, 소각, 화염제초 및 소토, 침수처리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침수처리 : 논에서 10~15cm 수심을 유지하면 잡초발생 억제

중경과 배토 : 관리기 등을 이용하여 자연적인 잡초 제거

토양피복 : 볏짚 등으로 피복하면 잡초발생 및 생육억제

흑색비닐멀칭 : 광발아성 잡초 발아 억제, 잡초의 광합성 방해

예취 : 잡초를 베어 결실을 방지하고, 잡초의 저장양분을 고갈시킴

화염제초 및 소토 : 잡초를 소각 및 흙속의 잡초종자까지 사멸시킴

 

3) 경종적 방제법

잡초의 생육조건을 불리하게 만들어 작물과 잡초와의 경쟁에서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재배적 방법으로 생태적, 재배적 방제법이라고도 한다.

경종적 방법은 작물의 종류 및 품종 선택, 파종과 비배관리, 토양피복, 물관리, 작부체계 등을 합리적으로 하여 잡초의 생육을 견제하는 방법이다.

경종적 방제법의 종류는 경합특성을 이용하는 방법과 환경제어법 2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경합특성 이용법 : 작물의 경합력 증진을 위한 방법

작부체계 윤작, 답전윤환재배, 2모작

육묘이식재배 육묘이식 및 이앙으로 작물이 공간 선점

재식밀도 재식밀도를 높여 초관형성을 촉진

품종선정 분지성 엽면적, 출엽속도, 초장 등 경합력이 큰 작물 선정

피복작물 토양침식 및 잡초발생 억제

재파종 및 대파 1년생 잡초의 발생 억제

춘경,추경 및 경운,정지 작물의 초기 생산 촉진

병해충 및 선충 방제 적기방제로 피해지의 잡초발생 억제

환경제어법 : 잡초의 경합력 약화 방법으로 작물에는 유리하고, 잡초에는 불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

시비관리 및 유기물 공급 가급적 작물에게 선별적으로 시비

관배수 조절 및 답전윤환재배 - 수생잡초 및 논잡초 발생 억제

제한 경운법 최소경운 및 무경운으로 잡초발생 잠재력 감소

토양교정 작물에게 적합한 토양산도로 교정

 

4) 생물적 방제법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인 미생물, 또는 대소동물이나 잡초식해곤충 등을 이용하여 잡초의 집합밀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근래에 친환경 유기농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장점으로는 방제비용이 적게 들고, 환경에 잔류가 없으며, 방제효과가 영속적이거나지만 살초작용이 느려 방제효과가 늦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방제법에 사용되는 투입물에 따라 미생물 제초제, 생물적 제초제, 식물,곤충,미생물 천적 이용법, 잡초제거에 효과가 있는 대소동물 이용법 등이 있다.

생물적 방제법의 종류와 구체적인 적용사례는 다음과 같다.

병원미생물 : 올방개, 돌피 등 방제(녹병균, 곰팡이, 세균, 선충, 바이러스 등)

,소 동물 : 오리, 새우, 참게, 우렁이 등 이용

어패류 ; 수생잡초를 선택적으로 방제(잉어, 붕어, 흑색달팽이, 초어)

allelopathy : 인접식물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호밀, 귀리, 보리 등)

잡초식해곤충 : 돌소리쟁이(좀남색잎벌레), 선인장(좀벌레), 고추나물속(무구풍뎅이)

민간농법에 의한 생물학적 잡초 방제 예

오리농법 : 잡초의 종자를 먹거나 물칼퀴로 흙속 종자의 발아를 방지하는 등 김매기 효과를 나타내며,

오리는 벼잎을 선택적으로 먹지 않아 벼농사 적용에 유리하다.

왕우렁이농법 :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밭둑외풀 등의 수면 잡초를 먹어치운다.

쌀겨농법 : 쌀겨에 함유된 인산,미네랄,비타민 등이 미생물의 활동을 나타면서 피 같은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유기산의 의해 잡초를 방제하기도 한다.

참게농법 : 참게의 탈피습성을 이용하는 농법으로 참게의 탈피각이 갖고 있는 칼슘성분은 벼와 토양의 유익하고, 참게의 토양미생물 섭취 행위로 토양을 잘게 부수어 잡초의 생육을 억제한다.

 

5) 화학적 방제법

제초제나 생장조정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비용이 많이 들지만 가장 유용하며 중요한 방법이다.

올바른 사용법을 익혀 사용하여야 하며, 재배양식, 대상 잡초, 약해 유발요인, 작용기작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에 가장 알맞은 제초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선택적 제초와 속효적 제초의 효과가 있으나 잔류의 문제도 있다.

잡초발생이 많은 포장에는 서로 다른 제초제를 사용하고 시기를 달리하여 2번 이상 살포하는 방법 있다.

 

6) 종합적 방제법

제초제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가지 다양한 제초방법을 화확적 방제법과 병행하여 운용하는 종합적 관리 개념의 제초 방법(Integrated Weed Management IWM)으로 물리적, 경종적, 생물적 방제 등의 방제법 중 둘 이상의 방제법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이다.

종합적 방제의 장점은 제초제 약해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잡초군락의 크기가 감소되고 작물의 생산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반응형

댓글